어휘집이자 관련어집

개요

본문은 본인의 다양한 형태의 자료집들(PRM., HRR, Que. 등)에서 사용되는 모든 어휘 및 용어, 단어들을 정리한 설명문이다.

단어들의 나열은 라티움 철자순으로 이루어졌다. 단어들은 원어나 잉글런드어, 번역어, 괄호와 그 안의 (원어명에 대한) 한자 풀이, 그 옆 빗금(/) 우측에는 기존에 사용되던 용어들을 적었다. 물음표(?)가 앞에 붙은 것은 수정이 고려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자료집들에서 사용된 문헌들은 정리 후 [AuQ(Ausweisen und Quellen)]라는 말머리를 달았다.

A

Abtei, Abbey - 목부원(牧父원)/ 대수도원, 수도원: '압바스(ABBAS)'를 '치는 아버지'로 번역한 '목부'가 반영된 결과로, 이는 '압바티아'가 '압바스'에서 기원했음에서 유래한 것이다. 따라서 주교구, 대주교구의 예시와 같이, 시설이긴 하나 '압바티아' 역시 '목부원'으로 번역됐다.
ACTA - 공보: 외교적 의미로서의 Act로는 '결정서'가 된다.
Agreement - 협정
Allerhöchste Kabinettsorder - 최고각회
Alpen, Alpes - 알프 산맥/ 알프스: 서부 에우로파의 거대한 산맥이다. 흔히 쓰는 '알프스'라는 말이 이미 산맥을 나타내기 위한 복수형이기에 원형인 라티움어의 '알프'만 남겨두었다.
Confederated States of America - 아메리카 연맹/ 아메리카 남부맹방, 아메리카 남부연합, 아메리카 남부연맹: '콘페데라치오(CONFÆDERATIO)'가 '연맹', '우니오(VNIO)'가 '연합'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에 기반을 둔 번역이다.
United States of America - 아메리카 연합주/ 미합중국, 아메리카 합중국: United States와 United Provinces의 번역어로 '연합주'를 채택한 결과로 나온 번역어이다.
American Civil War  - 분리 전쟁(Secession War)/ 남북전쟁: 동아시아에서는 흔히 '남북전쟁'이라 일컬어지는 아메리카 내전(American Civil War)에 대한 수많은 지칭들 중 하나이다. 사실 본인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았다 말할 수 없는 선택으로, 연맹과 연방을 전쟁을 단순히 노예제나 정치의 문제보단 남부라는 정체성의 투쟁으로서 연맹이 떨어져 나가려 한 시도라는 설을 받들고 '분리 전쟁'이 가장 타당하다 여기고 채택했다.
Amt - 목(): 중세기부터 길게는 근세기까지 에우로파에서 주군이나 종교기관을 대신해 세속의 행정 및 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는 행정구역이자 그를 관할하는 관직 자체이다. 명칭은 과거 조선에서 사용했던 동명의 행정구역을 차용했다. 상위 기관으로는 상목(Oberamt)이 있으며, 목을 관리하는 행정관을 목사(Amtmann)라 한다. 이외 유사한 직책으로는 목장(Amtshauptmann)이 있다.
ANNALES - 연보
Anarchismus - 반강권주의: 흔히 '무정부주의'로도 쓰이지만 그보다 의미가 넓어 여러 번역어들 가운데 그나마 가장 본래의 뜻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반강권주의'를 택했다.
Anglicism - 외어화 잉글런드어/ 앵글리시즘
Anglo-Saxon England - 엥글랄란드: 앙글-삭손 시대의 잉글런드를 뜻한다. '잉글런드'라는 말은 그 이후에 나타난 것이기에 당시의 언어로 적었다.
Aniran - 아네란: 비에란인들에 대한 지칭이다. 신 퍼르스어 명칭인 '어니런' 대신 중 퍼르스어 명칭인 Aneran을 반영했다.
Antiochia - 안디오히아, 안티오키아/ 안티오크
Apartment, Wohnung - 다가택/ 아파트
Archduke - 원공(元公, Erzherzog, ARCHIDVX)/ 대공: 외스터라이히에서 사용했던 고유 작위이다. 분명 대공(MAGNVS DVX, Großherzog)과는 구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번역어가 없어 '대공'으로 쓰였다. '권위', '우선하는'이란 의미의 '아어히'를 반영했다. 원공국(Erzherzogtum)은 이들이 다스리는 영역을 뜻한다.
Armenians - 하이인(հայեր)/ 아르메니아인: 인족으로서의 아르메니아인을 가리키는 말. 아르메니아에서 아르메니아를 가리키는 '하야스탄'은 '하이(հայ)'와 '-의 나라', '-의 땅'을 가리키는 구 아르메니아어 '아스탄(-աստան)'의 합성어이다. 하이는 아르메니아의 전설상의 시조로 그리스의 헬렌과 같다. 이에 따라 아르메니아 국적자를 가리켜선 '하야스탄인'이라 쓰나, 인족적으로 그 집단에 속하는 이들은 '하이인'이라 한다.
Armet - 위주(圍胄)
ARQVEBVSVM - 구총(鉤銃) /아퀘버스/아쿼버스(Arquebus): 단어가 네덜란트어의 '갈고리'에서 유래했음에서 딴 번역이다.
Arthur - 아르수르/ 아서, 아더: 켈트어에 속하는 컴리어에서 잉글런드어 이름 '아서'를 발음한 이름이다.​
artisan - 수공업자
d'Arsour  - 다흐수흐: '아흐수흐 출신의'라는 뜻의 단어이다. HRR에선 한때 '다흐쉬프(d'Arsuf)'로 썼으나 중세기 프랑크인들은 아흐수프를 아흐수흐라 불렀기에 시대착오적인 명칭이다.
Aschersleben - 아셔스레븐/ 아셔슬레벤
Assault - 강습
Aubert, Obert - 오베흐


B

Babylon, Babylonia - 바빌림(Babilim)/ 바빌론, 바빌로니아
BANVS, Ban - 영작(令爵)
Bailli, Vogt, Bailiff, Reeve - 호사(護事): 단어는 같으나 사법계에서 집행관과 달리 특정 영토에서의 세속 법정 및 군주들을 위한 군사적 보호를 목적으로 했다.
Bascinet - 관주(盥胄)/ 대야형 투구
Basket-hillted sword - 겸부검(䈴㓡劍): '바구니 모양 자루의 검'
BAVARIA - 바이언(Bayern)/ 바이에른, 바바리아
Beirut - 바이루트(بيروت)/ 베이루트
Bardiche - 장부장(長斧槍)
Bill, Hippe, Voulge, Vouge - 겸도(鉗刀)
Bolt-action - 노리쇠 장전식
Boyar - 귀작(貴爵)/ 보야르: 슬로브어권의 귀족층이다. 번역은 사실상 '귀한 사람'을 뜻한다는 튀르크어설의 어원을 따른 것으로, 흔히 '보야르'라 쓰는 '보야리'는 러시여어 명칭이기에 로므니아, 벌가리야, 스르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됐음을 고려하면 맞지 않다 여기고 번역했다.
Break-action - 중절 장전식: 하위 분류로는 중절 개방식(break-open), 총열 중절식(break-barrel), 후미 중절식(break top/top-break) 등이 있다.
Breeches - 윗바지(Haut de Chausses)/ 반바지: 프항스어의 '오트 더 쇼스'를 번역한 것으로, '오트'와 '쇼스'가 각각 위와 바지를 의미하는 점에서 유래했다. 반바지의 일종이지 반바지의 완벽한 동의어가 아니기에 별도의 번역어를 만들었다.
Breton language - 브레이스어(Brezhoneg)/ 브르타뉴어: 브흐타뉴/브레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 맥락에 따라서 프항스어 명칭인 '브흐타뉴어'로도 쓰일 수 있다.
Brythonic language - 브리탄어/ 브리턴어
Burgonet - 부흐기뇨트(Bourguignotte): 근세 에우로파 투구의 한 유형. 어원이 지역 부흐고뉴인 점, 그리하여 프항스가 원산지라는 점을 반영하여 번역하는 대신 프항스어 명칭을 옮겼다.
Byzantium - 동로마(IMPERIVM ROMANORVM​/ 비잔티움


C

Caliver - 중총(重총): 단순히 무게의 차이에서 따왔다.
Cannon - 작약포/ 캐넌, 대포: 화약으로 발사하는 포를 가리킨다. 흔히 '대포'를 의미하는 '아틸러리(Artillery)'의 하위 범주이다.
Campaign - 회전: 흔히 쓰이는 '전구'는 'Theater'로 대신했다.
Cape - 견폐(肩蔽)/ 케이프: 어깨를 덮는 의류이다.
Carbine - 기총/ 기병총, 카빈, 칼빈: 기병용으로서 제작된 단총열 총이다. 이전 자료집들에서 때때로 '기병총'이라 쓰였으나 이미 한자 '기'가 '기병'의 뜻을 포함하고 있기에 '기총'으로 확정했다.
Case - 경우: 이따금씩 '사례', '예시'로도 쓰일 수 있다.
Cataphract - 완개기병(完蓋騎兵)/ 카타프락트, 캐터프랙트, 카타프락토이: 군마는 물론 기수 또한 전신에 갑옷을 두른 기병으로, 번역어는 물론 원어인 엘린어의 '카타프락토스' 역시 여기서 유래했다.
Celata - 차주(遮胄): 투구의 한 유형. 단어가 이탈리아에서 '가리다', '감추다'라는 의미의 '첼라토(Celato)'에서 유래​했음을 반영했다.
Cesare - 체자레: 이탈리아식 남성 이름. '체사레'는 '체자레'의 잘못이다.
Charter/ Constitution - 헌장
Chausse - 사슬싸개
champion - fighter 및 Krieger/Kampfer와 구분
Christ - 크리스토스/ 그리스도, 기독, 크리스트: 아브라함계 종교의 구세주. 한국에서 흔히 쓰이는 '그리스도'나 '기독'은 모두 코이네 엘린어의 '크리스토스'를 음차한 것으로 굳이 번역하거나 다르게 옮길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는 근거가 됐다. 이에 따라 그를 추종하는 종교에 대해서도 그에 맞게 이름을 바꾸었다.
CHRONICA - 연대기
Chronicler - 편년사가: 연대기를 쓰는 이. 한때 '연대기 작가', '연대기 저자' 등으로도 썼지만 수정됐다.
Circumstance - 사정, 환경, 상황
City, Stadt - 시, 도시
Claimant, Pretender - 왕위주장자, 주장자
Cloak - 요폐(두를 요, 가릴 폐)/ 망토
Close combat - 근접전
clue - 지문, 단서, 실마리
Coat - 외투: 외의의 한 종류로, 겉에 걸치는 옷인 외의와 구분된다.
Coatee - 단외투(短외투)/ 코티: 허리까지만 오는 외투로, 19세기 군복으로서 자주 활용되었다. '짧다'는 의미를 강조했다.
CODEX - 책자본
Coif - 속건(束巾)/ 코이프: 도이트어의 Bundhaube의 번역으로, '묶음두건'이란 뜻이다.
Constable - 코메스타불리(COMESTABVLI):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용어이다. 기원지인 로마에서는 말을 비롯한 군용 짐승들을 관리한다는 의미에서 '마구간의 백작'이라 불렀으며, 그 역할을 반영하여 전수감(戰獸監)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로마의 것을 가리킬 때에는 '전수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나, 프항스, 잉글런드, 스코틀런드의 군직으로선 상원수(브리튼에서 정식 명칭은 고위원수대신)로, 성주와 동일한 직책으로서는 성감(城監)으로, 브리튼의 경관 직위로서는 순경으로, 민동(Civil Parish)의 치안 담장자로서는 동경(洞경), 아메리카 연합주의 사법집행관으로서는 향경(鄕경)으로 쓰인다.
CONSTITVTIO, Constitution, Konstitution - 칙법
Convention/Pact - 협약
Connétable - 상원수: 프항스 왕국의 최고 군사지위이다. 번역어는 조선의 것을 빌려와 붙였다. Grand Connétable은 태원수로 지칭한다.
Common Brythonic language - 공용 브리탄어/ 공용 브리턴어: '브리튼어(British language)'라고도 한다. 학술적 명칭이다.
Commonwealth - 공화/ 연방, 연합: '공공의 선', '공공의 재화' 등으로 번역되는 단어이다. 흔히 연방, 연합 등으로 번역되지만 오역이다. Rzeczpospolita 등이 이에 해당된다.
Compact - 상호협약
Corazza - 갑병
Cornish language - 케르노우어/ 콘월어: 켈트어족에 속하는 언어. 잉글런드 콘월어, 즉 게르만어족의 콘월 방언과는 다르다.
Cossacks - 카자키(): 동부 슬라브 영토를 따라 존재했던, 혹은 일부가 현재까지도 존재하는 준군사 사회집단이다. 다른 인족이나 민족이 아니기에 '-인'을 붙이지 않았다. 카자흐스탄의 카자흐인을 가리키는 형용사 등으로 '카자크'가 쓰이는 경우도 간혹 발견될 수 있으나, 애초에 '카자크'는 단수형인 한편 복수형인 '카자키'가 압도적으로 사용될 것이므로 혼동할 여지는 적을 것이다.
Couleuvrine, Culverin - 사형포(蛇形砲)
Coup d'etat, Putsch - 정변, 모반/ 쿠데타
Covenant - 규약: 종교적 맥락에선 '언약'으로도 쓰인다.
Crusade - 성벌(聖伐, EXPEDITIO SACRA)/ 십자군 원정, 십자군 전쟁: 오늘날 우리가 '십자군 원정'이라 부르는 군사 충돌에 대해 당시, 혹은 후대의 에우로파인들은 '원정', '정벌', '성스러운 원정'이라 칭했다. 여기서 고유어로서의 느낌을 살릴 수 있는 세 번째 단어를 한자어를 통해 두 글자로 축약했다. (본인이 본 예시는 16세기의 것이다.)
CVIVS REGIO, EIVS RELIGIO - 종군역교(從君域敎): '군주의 종교가 지역의 종교'. 30년 전쟁 이후 천명된 원칙이다.
Cumbric language - 쿰브리아어


D

Dane axe - 단 도끼/ 데인 액스
Declaration - 선언
Decree - 법령: '법적 명령'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실제로는 '명령'으로만 쓰이나 자료집들에선 이와 같이 쓰인다. 프항스에선 장관령(Arrêté), 행정명령(Décret) 등으로 세분된다.
DEMETRIVS - 데메트리우스: 프항스어식으론 '데메트흐(Demetre)'라고 한다.
Demi-cannon - 반작약포
Demi-culverin - 반사형포
Demi-lance - 반기창
Dominican Order - 전도수도회(ORDO FRATRVM PRÆDICATORVM), 도밍고회, 도미니쿠스회, 도미니쿠스 수도회
DOMVS REGIS - 시왕사(侍왕사)
Doublet - 겹누비상/ 더블릿:잉글런드어의 '더블릿'의 어원을 참조한 번역으로, 단어가 말그대로 옷감을 두 번 누빈 점에서 유래했다.
dynasty - 조, 왕조, 황조: 예시로는 다니쉬멘드조, 장기조, 칭기스조 등이 있다.


E

Eagle, Adler, AQVILA - 수리/ 독수리: 흔히 말하는 '독수리'는 '대머리 수리'를 뜻한다.
Edict, EDICTA, Edikt - 칙령
Ancient Egypt - 쿠마트()/ 고대 이집트, 정확히는 우리가 흔히 '고대 이집트'라 칭하는, 아랍화 이전의 "이집트"에서 자기들을 가리키던 말이다.
Engineer - 공병: 일반적인 의미의 병과로, 전투공병, 돌격장병(Assault pioneer), 호병의 상위 범주이다.
English language - 잉글런드어/ 영어
Épée - 연검(淵劍)
Épée de cour - 내검(內검): 궁중(內)에서 쓰이던 검임을 감안했다.
Erbschatzmeisteramt - 세습재보감직
Ernst - 에언스트
Ethnicity - 인족: 흔히 '민족', '인종', '종족'으로 번역되는 단어이나 자료집들에선 '민족'의 번역어로 '나치온(Nation)'을, '인종'의 번역어로 '라슨(Rassen)'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셔널리즘(Nationalism)'은 '민족주의', '에스노-릴리저스 그룹(Ethno-religious group)'은 '인족종교집단'으로 쓰인다.
Europe - 에우로파/ 유럽: 한국에서 잉글런드어로 '유럽'이라 부르는 대륙의 라티움어식 이름이다. 엘린어보단 라티움어의 대표성을 인정하여 이렇게 부르게 되었다. 훗날 사용된 화폐인 Euro 역시 같은 논리로 에우로(EVRO)라 쓴다.
escalation - 확충, 확증, 고조
Estoc - 충검(衝劍): 어원이 된 게르만 조어의 '찌르다'라는 뜻을 살렸다.
Eustache - 외스타슈: 프항스식 남성 이름. 잉글런드어식으로는 '유스티스(Eustace)'라고 한다.
Exchange of letters - 서한교환
Exchange of note - 공문교환

F
Falchion - 삼도(鐥刀, Fauchon)/ 펄션(Falchion)
Falconet, Fauconneau - 소응포(小鷹포)
Falling-block action, Sliding-block action - 전도 방지식
FAMILIARIS - 근사(近士): 복수형은 '파밀리아(FAMILIA)'이다.
FAMILIARIS CVRIÆ - 근내사(近내사)
FAMILIARIS REGIS - 근왕사(近왕사)
Fashion - 풍미(風靡)/ 패션: "위세에 휩쓸린다"는 부분에서 차용한 단어이다. 어원에 있어선 전혀 관계없는 번역이나 의미에 중점을 두었다.
FRANCIA - 프랑치아: '프랑크 왕국'을 가리키는 라티움어 단어이자 또한 현대의 프항스를 뜻하기도 하는 단어이다. 종종 고전식으로 읽은 '프랑키아'로도 쓰이나 시대적으로 맞지 않다.
Fen - 진봉(堻湗)
Federfechter - 우투단(羽鬪단): '깃털의 투사단'
Flamberge - 염형검(炎형검)
Flintlock - 수발식
Frisia, Friesland - 프리슬롱/ 프리지아
Frisian - 프리즈어/ 프리지아어, 프리슬란트어
Full-plate armour - 전신 판금갑


G

Gautier - 고티에: '월터(Walter)'의 프항스식이다.
Gàidheil - 고이델: '게일(Gael)'의 원어명이다.
Gens d'arme - 개군(蓋軍)/ 중장병, 맨 앳 암스: '장비를 갖춘 이' 정도의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미가 전혀 다르게 쓰였지만 일반적으로는 중세 후기 프항스 및 잉글런드에서 쓰인 '장 다흠'의 의미로서 '중갑을 갖춘 병사'의 의미로서 쓰고 있다. 때문에 '중장병'이란 명칭은 맞지 않다고 보았다. '무장병'을 생각하기도 했으나 그만두었다. 한자 풀이는 蓋軍.
Gendarmerie/ Homme d'armes - 개사대, 개사(蓋士)/헌병대, 헌병: 한때 왕의 근위대였다가 사법집행기관으로서 변화한 군사 조직이다. 흔히 헌병으로도 자주 번역되지만 MP와의 괴리를 도저히 메울 수가 없어 단어를 분해해 한자어로 대체했다. '장 다흠'과 비슷한 것은 '장다흐메히'가 바로 그의 변형이기 때문이다. 번역어 역시 이를 반영했다. 한자 풀이는 蓋士.
gentry - 진신: 잉글런드어에서 'Gentry'로 번역되는 중국의 '신사'를 가리키는 또 다른 용어이다. 이전까진 '귀생'이라는 자체적인 번역어를 만들어 사용했다. 한자 풀이로는 縉紳. Landed Gentry('토지귀생')에 대해선 향신(鄕紳)을 채택했다.
Geoffroy - 제오프후아: 프항스식 남성형 이름. 잉글런드어에서는 '조프루아'로 읽는다.
Georgios - 예오르요스/ 게오르기오스, 요르요스: 엘린식 남성형 이름
Germans - 도이트인(Deutschen)/ 독일인: 중부 에우로파에 걸쳐 거주하는 게르만인의 일파로, 오늘날 도이췰란트 및 외스터라이히의 인구 절대다수를 차지하면서 '도이췰란트'라는 국호 겸 지명의 어원이 되었다. 바로 이 이탈리아와 반대되는 경우가 이들이 '도이췰란트인'으로 읽히지 않는 이유로, 그에 따라 그들의 언어 역시 '도이트어'가 되었다. '도이트 제국' 역시 마찬가지의 경우로, 이는 특히 신생 도이췰란트의 황제가 정식 작위로서 '도이췰란트의 황제'나 '도이트인들의 황제'가 아닌 '도이트 황제'를 택한 결과였다. 때문에 이 정치체는 '카이저라이히 도이췰란트(Kaiserreich Deutschland)'라고도 불리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틀린 것이다. 세부사항에 관해선 ['도이트어'의 이유(
http://blog.naver.com/hirdmann/221003745304)]와 [에우로파의 인족명들(http://blog.naver.com/hirdmann/220759811861)]을 읽어보라.
Glaive - 장병도(長柄刀, Glefe)/ 글레이브: 날이 넓은 창의 일종으로, 중국을 비롯한 한자어권에서 본래 사용하던 명칭을 답습했다.
Glockenschläger - 종습검()
Golden Horde - 금장국/ 금장 칸국, 킵차크 칸국: '황금 천막의 울루스'. 여기서 '천막', 즉 '오르두'가 한자의 '장', '울루스'가 '국'으로 자주 번역되는 점에서 이와 같이 옮겼다.
Gotik - 고트적 양식/ 고딕(Gothic)
GRANDATVS, Grande - 대작(大爵)
Greeks - 엘린인()/ 그리스인: 신 엘린어에서 '엘린의'를 가리키는 '엘리니'는 엘린인들의 시조라 여겨지는 전설상의 인물인 헬렌에게서 유래했다. 이는 곧 '헬렌의'라는 뜻으로, 헬렌은 중세 및 현대 엘린어에서 '엘린'이라 읽힌다. 따라서 '그리스어', '그리스인'는 각각 '엘린어', '엘린인'이라 쓴다.
Group, Konzern - 합사(合社)/ 그룹
Grotesque - 심수적()/ 그로테스크: 용어가 이탈리아어로 '동굴'을 의미하는 '그로토'와 프항스어에서 '-적', '-식'을 의미하는 '에스크'에서 유래했음을 고려했다. ('그로테스코'라는 명칭은 훗날 이탈리아인들은 로마의 불규칙한듯하면서도 규칙적인 문양들을 우연히 동굴에서 발견하게 되었다는 사실에서 붙여진 것이다.)
Großgebietiger - 대임관()
Grundschlue - 기초학교
Guild, Zunft - 업회(業會)/ 길드, 조합: 같은 직업군 간의 단체임을 강조했다.
Guisarme - 기자흠
Gymnasium - 문법학교


H

Halberd, Hellebarde, Helmbarte - 미늘창/ 할버드: 미늘 모양을 닮아 붙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번역이다.
Half-plate armour - 부분 판금갑
Half-sword - 반검
Handgonne, Canon à main - 조포(操砲)/ 핸드건, 한드고나, 핸드고네: 화기의 초기 형태로, '손으로 다루는 포'를 말한다. 때때로 다른 이들은 '수포'라고도 하나 차라리 '손으로 다룬다'를 명시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 일종의 직역이다.
Hauberk - 쇄상의, 사슬상의
Haudegen - 참연검(斬연검)
Hauptschule - 상급학교
Hebrew - 이브르어(עברית)/ 히브리어, 헤브라이어: 예후다인들이 사용하는 솀어족의 일파인 언어이다. 한국에서 흔히 '히브리'라 불리는 '이브리트'가 유대인들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에베르(עֵבֶר‎)에게서 유래한 사실에 근거한 번역어이다.
Hegemony - 패권(HEGEMONIA)/ 헤게모니
Helme - 대주(大胄): '그레이트 헬름(Great Helm)'의 직역이다.
Helicopter - 선익기(旋翼기)/ 헬리콥터, 헬기: '헬리콥터'의 어원인 프항스어의 '엘리콥테흐'가 나선형으로 돌아가는 모양새에서 유래했음을 반영했다.
Herald - 문장관
Hispanic - 히스파니아계/ 히스패닉: 인종을 가리키는 의미로서의 '라티노'와 '히스패닉'은 모두 '라티움'과 '히스파니아'를 접두사화 한 것이다. 때문에 이런 식으로 "풀어쓰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여 이와 같이 적었다. '라티노(Latino)' 또한 같은 맥락에서 '라티움계'로 번역된다.
Hofburg - 위성(魏成)
Holmrugr - 홀름루그인: 라티움어에선 '루그인(RVGII)'라고도 한다.
Horde - 장(Ordu): 몽골어에서 '천막'을 가리키는 단어로, 이후 한 유목민 무리를 뜻하는 것으로 의미가 확장됐다. 흔히 말하는 '호드(Horde)'가 여기에서 유래했다. 자료집들 가운데 '노가이장', '알튤장', '금장'과 같이 몽골에 관한 글들에서 끝에 붙은 '장'은 모두 이 '오르두'를 가리킨다.
Horseman's Pick, Reiterhammer - 기병촉
Hundsgugel, Houndskull - 견주(犬胄): 개머리 모양 투구이다.
HVNNI - 훈/ 훈족: 하나의 부족이나 정치체가 아닌 연맹체로 추정되기에 (자료집들 안에서) 부족에게만 붙이는 '족'을 쓰지 않았다.
Hungary, Kingdom of - 머저르 왕국/ 헝가리 왕국: 이전 자료집들에서 '머저로르사그 왕국'으로 쓰이기도 했으나 명확히 하자면 틀린 명칭이다.


I

?interview - 면담취재
Irish language - 에이레 고이델어(Gaeilge)/ 아일랜드어
IVDICE - 중재관


J

Jäger - 엽병
Jesus - 이에수스/ 예수, 야속:  '예수'는 라틴어 '예수스(IESVS)'의 음역으로, '예수스'는 다시 코이네 엘린어의 '이에수스'에서 유래했다.
Junker - 소군: '융커'가 '어린 군주'라는 의미의 중 고지대 도이트어에서 기원했을 고려한, 일종의 직역이다.


K

Kalmyks - 할름그인(Хальмгуд)/ 칼미크인
Kanzler, Chancelier, Chancellor - 재상
Kaisermanöver - 어전기동: 도이트 제국에서 황제 앞에서 시행된 군사훈련이다.
Karolinger - 카롤루스조(KAROLINGII)/ 카롤링거 왕조: '카롤링'은 게르만어 접미사 '-ing'에 '카롤루스'가 붙은 형태이다. 이미 '카롤루스의 자식들'이란 뜻으로, -여기에 붙은 -er는 게르만어에서 쓰이는 또 다른 접미사이다. 즉 의미는 결국 '카롤루스의 자식들', 카롤루스의 조, 가문이라는 것이다.
Katzbalger - 묘투검(猫鬪검): '카츠발거'가 고양이들이 투닥거리는 듯한 모양새에서 따왔음을 반영했다.
Kazakhs - 카자크인(Qazaqtar)/ 카자흐인: 루스어식 이름인 '카자흐스탄'이라 불리는 '카자크스탄'을 구성하는 다수의 인족이다.
Kellerei - 창감구(倉감區)
Kent - 칸타와레(Cantaware), 칸타와레 리케(Cantaware Rīce)/ 켄트(Kent)
King of the Germans - 도이트왕(REX TEVTONICORVM, REX TEVTONICVM)/ 독일왕:
당연히 공식적인 명칭은 아니었음에도 어쨌든 11세기의 도이트어권, 그리고 이웃 서프랑크에서는 카롤루스 왕조 이후의 동프랑크를 도이칠란트 왕국, 혹은 도이트인들의 왕국이라 불렀다. 그러나 '렉스 테우토니코룸/ 렉스 테우토니쿰'에 대해선, '도이칠란트'라 불리기도 했던 도이트 제국의 황제가 스스로를 '도이칠란트 황제'가 아닌 '도이트 황제'라 칭한 것과 같이, '도이칠란트 국왕'이 아닌 '도이트왕'이라 표현한다. 단, '뵈멘왕'과 '렉스 이탈리에'는 각각 '뵈멘 국왕', '이탈리아 국왕'으로 표기한다.
Konfederacja - 의맹(意盟): 중세 및 근세 폴스카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귀족들이 결성한 모임이다.
Komban - 부행관()
Komtur - 군행관(군사+행정+官)
Korbschläger - 광습검(筐習검)


L

lace - 화수()
LANCEA - 기창/ 랜스: 기병용 창을 가리킨다. 흔히 연상하는 중세 기병들의 화려한 기창은 '투기창'으로서 따로 사용하고 있다.
Lamellar armour - 찰갑
LATGALLIA - 라트골라(Latgola): 도이트어로는 '라트갈런(Latgallen)'이라고 한다.
Latin - 라티움어(LATINE)/ 라틴어: '라티움(LATIVM)에서부터 쓰인 말이라는 의미'이다. 본인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비잔티움 연대기'라는 제목으로 남경태가 번역한 서적에서 처음 읽은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Law, IVS, Recht - 법
Lever-action - 지레식
Treaty of Libemont - 리부아리오룸 조약(TRACTATVS RIBVARIORIVM)/ 리베몽 조약
LICTOR - 관위사(官衛事)
LIVONIA - 리브모(Līvõmō): 이곳의 거주민과 언어는 각각 리브인, 리브어라 한다.
Lord - 작(爵)/ 경, 영주: 남작위 소유자들에게 부여되는 경칭이다. 남작들이 이름 앞에 '남작(Baron)'을 붙이며 자칭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다수는 '로드 x'와 같은 식으로 칭한다. 처음에는 남작의 '남(男)'을 생각했으나, '서(Sir)'에 경이 붙는데 '로드'에 작이 못 붙을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다. ​당연하지만 '주인', '영주'로서와의 '로드'와는 구분된다.
Ludowinger - 루트비히조(LVDOVINGII)
LVGII - 루그 연맹: 반달인들과의 연맹체임을 고려한 명칭으로, 대신 LVGI를 '루그인'이라 한다.


M

manual - 지침, 안내서, 교본
MANVSCRIPTA - 필사본
Manx language - 마닌 고이델어(Gaelg)
March - 변경주(MARCHE): 프랑치아와 신성로마제국, 잉글런드, 프항스 등에서 주로 변경에 설치한 행정구역이다. 별다른 번역어가 없어 그대로 사용했다.
Marshall, Marshal, Marshal - 원수: 프항스 기준으로 상원수(Connétable)보다 한 단계 아래에 있던 직위이다.
Matheus - 마테우스/ 마토이스: 마테우스의 도이트식 이름. 종종 '마토이스'로 쓰이지만 잘못된 발음이다. 에두아어트(Eduart)의 경우와 비교할 수 있다.
memorial - 추념물
Mercia - 미위르케(Mierce), 미위르크나 리케(Miercna rīce)/ 머시아
Treaty of Mersen - 마르나 조약(TRACTATVS MARNA)/ 메르센 조약​
Match lock - 화승식
Middle, Mittel, Moyen - 중: '가운데'라는 뜻의 단어이다. 언어를 설명하는 맥락에서 쓰이기도 한다. 이에 따라 '미들 잉글리쉬(Middle English)', '무아옝 프항셰(Moyen français)', '미틀프랭키쉬(Mittelfränkisch)' 등은 '중 잉글런드어', '중 프항스어', '중 프랑큰어' 등으로 쓰인다. 이는 '중'이 지리적인 요소를 반영하면서도 또한 시기를 나타내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반드시 '중세'라 지칭되는 시기에 한정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하기에 '중세'의 번역어로서 쓰지 않았다.
Minion - 섬포(纖砲)
Ming - 밍/ 명
Minstrel, Ménestrel - 소종(小從): '작은 하인/종'이란 뜻으로, 어원을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Miquelet lock - 미켈레테식
MODVS VIVENDI - 잠정협정
momument - 기념물
MONARCHIANA - 군주정: 기존의 '군주제'를 대체한다. '절대군주제', '입헌군주제' 등도 각각 '절대군주정', '입헌군주정' 등으로 수정한다. - 봉건군주정, 선거군주정, 준선거군주정(부분 선거군주제 대체) 등
Monastery, Kloster - 수도원
Mongol Empire - 대몽골국/ 몽골 제국
Monogram - 합일문(合一文, Μονόγραμμα)/모노그램
?Mundschenk/Schenk, Bouteiller, Butler - 집사장
Muscovy - 머스크바국(MOSCOVIA)/ 머스코비
Musket, Mousquet - 승총(塍총)/ 머스킷: '무스케테'에 대한 여러 어원들 중 이탈리아어에서 쇠뇌살을 뜻하는 말의 어원이 된, '파리'를 뜻하기로는 하는 '모스카(Mosca)' 기원설을 택하고 그를 직역했다.
myth - 속설: '미신(Superstition)'과 '신화(Mythology)'와는 구분한다.


N

naive - 안일, 순진
Nationalsozialismus - 민족사회주의/ 국가사회주의: '나치즘(Nazism)'으로 유명한 이론이다. '국가사회주의'로도 많이 쓰이나 자료집들에선 국가사회주의와 민족사회주의를 분명하게 구분하고 있다.
No man's land - 무주지/ 무인지대: 누구도 감히 차지하지 못하는 구역. 군사 및 운동경기 영역에서 모두 사용되는 말이다. 흔히 니혼어 번역을 빌려 '무인지대'라고도 하며 때로는 terre sans homme(문자 그대로 '사람 없는 땅')의 경우와 같이 쓰이기도 하나, 실제 의미는 '누구도 차지하지 못하는 땅'이기에 '무주공산'에서 따와 '무주지'라 지었다.
Norsemen - 북방인: 어원부터가 '북부'를 뜻하는 말이고 다른 언어들에서의 차용어들 또한 '북방'을 그대로 가져다 붙인 말이다. '북부인(Northerner)'이라는 말과 차이를 두려 북쪽을 뜻하는 다른 말인 '계'도 생각해봤으나 익숙하면서도 어감이 다른 '북방인'이 가장 나으리라 판단했다. 게다가, 내가 굳이 음차를 쓰기 싫어 고유명사인 듯한 일반명사를 정말 일반명사 마냥 옮겨버린 경우는 드물지 않았으니 말이다. (사수대(스트릴치) 등) 한편으로는, '북방인'을 더 이상 북부 게르만인들을 위한 고유한 지칭명사가 아닌 단지 하나의 용어로서 받아들인 것도 번역에 영향을 주었다. '북방인'은 우리가 '노먼스(Normans)'라 가리키는 노흐망인들에게도 사용되었다.
Northumbria - 노르드휨브레(Norþhymbre), 노르드휨브라 리케(Norþhymbra rīce)/ 노섬브리아


O

Old, Alt, Vieux - 구: '옛'이라는 뜻의 단어이다. 특히 언어를 설명할 때 '올드 잉글리쉬(Old English)', '알트호흐도이취(Althochdeutsch)' 등은 모두 '구 잉글런드어', '구 고지대 도이트어' 등으로 쓰이게 된다. 구 프항스어(), 구 북방어(), 구 프랑크어() 등이 이에 해당된다.
Order, Orden, Society, -schaft - 단, 회
Ordinance, Ordonnance - 편령(平령): 유사 표현으로는 대편령(Grande ordonnance), 어편령(Ordonnance royale)이 있다.
ORDO MILITARIS - 군사수도회: '기사수도회', '종교기사단(Geistliche Ritteroden)'이라고도 한다.
Outercoat - 피외투(皮外套)/ 아우터코트:경외투 및 상외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겹말이자 직역체이다.
Ottoman Empire - 오스만국/ 오스만 제국, 오스만 튀르크 제국: '오스만 숭고국'이란 정식 국호를 지녔던 옛 정치체에 대한 통칭이다. '오스만 제국'을 대체한다.
Overlord - 증영주
Overcoat - 상외투(上외투)/ 오버코트:외투 위에 입는 더 크고 두꺼운 외투다. '(외투) 위의 외투'라는 의미로서 썼다.


P

Padded armour - 누비갑
Padded clothes - 누비옷: 국립어학원에서 시민들의 제안안 중 하나를 채택했다.
Paillegelb - 고황색(稁黃色): '지푸라기'를 뜻하는 프항스어 '페이(Paille)'와 '황색'을 뜻하는 도이트어 '겔프(Gelb)'의 합성이다. 사실상 직역한 것이다.
Partisan, Partigiana, Partisane - 파르티자나/ 파티잔
pattern - 양상, 양식
Peerage, Pairie, Paria - 등작/ 작위: 한자 풀이로는 等爵.
Pankow - 판코우
Percussion lock - 뇌식(雷식)
Persians - 퍼르스인/ 페르시아인: 서부 에란인들의 일파이자 오랫동안 이런의 인구 대다수를 구성해온 인족이다.
Pheonicia - 크논()/ 페니키아
Pike - 장창/ 파이크
Pioneer - 장병(匠病): 원래 의미는 구 프항스어의 '보병'. 처음엔 '선구자'라는 의미도 있으니 '선작병'이라 하려 했던 것을 두 글자로 줄였다. 어딘가에선 개척공병이란 제안안도 있긴 했지만 개척의 사전적 의미 때문에 거슬려서 제외했다.
Pitched Battle - 선지전(選地戰): 척후전이 번진 전투가 아니라 두 군대가 암묵적으로 지정된 전장에 모여 벌이는 전투이다. 도이트어에서는 '공전(Offene Schlacht)'이라고도 한다.
Pixane - 보호깃
Plated-mail armour - 경번갑
PLEBISCITVM, Plebiszit - 의결투표/ 주민투표, 국민투표
PRINCEPS, Prinz, Prince - 공: '왕자'의 번역으로도 쓰이나 자료집들에선 쓰이지 않는다. 단, 이건 어디까지나 계승자를 가리킬 때의 '프린켑스'에 대한 번역이며, 통치권을 지닌 '프린켑스'는 '퓌어스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조건 '제후'로 번역된다.
PRINCEPS, Fürst, Prince - 제후/ 공, 대공, 후작: ​'후작'이라 번역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보다 쓰이는 의미가 넓어 '제후'로 번역했다. 특히 신성로마제국과 단마그, 스배르예 등에선 '후작'이 없는 대신 그에 대한 동격으로서 변경백작이 존재한다는 점을 들면 더더욱 이렇게 씀이 맞다고 생각했다. 특히 '크냐스'의 경우, '공작'으로도 쓰이지만 독립적인 지도자에게 붙은 명칭인 관계로 '제후'가 훨씬 걸맞다고 생각했다. 애초에 슬로브어권에서는 '공작'으로서 도이트어의 현지 음차인 '헤르초크'를 사용한다. 즉, 신성로마제국의 '변경백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작'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머스크바국, 리히튼쉬타인, 모나코, 안디오히아가 이에 해당한다.
MAGNVS PRINCEPS, Großfürst, Grand Prince, Veliki Knyaz, Veliki Zupan - 대제후/ 대공
Poleyn - 슬보(膝保)
Pommern - 포먼/ 포메른: 중동부 에우로파의 한 지역이다. 전지 포먼(Vorpommern)과 후지 포먼(Hinterpommern)으로 구분된다.
Prokurator - 대행관: '대리인'. 도이트어로 '대리', '대신'을 의미하는 '프로쿠락치온'을 응용했다.
promotion - 촉진, 장려, 고취, 증진, 독려
Protocol - 의정서
Pump-action - 압축식


Q

Qing - 칭/ 청: 한국에서 '청나라'라고도 하는 만주 중국. 한어 음역과 유사하나 자료집들에서 사용되는 건 만주어 음역이다.

R

raid - 급습
Rapier - 자검(刺劍, Rapière)/ 레이피어: '찌르는 검'이라는 의미를 강하게 부여했다.
Reichskommissar - x, (후대의 맥락에서) 국가x
Reigning - 재위: 군주의 치세 기간. 공무원과 임명직 및 선출직은 '재임'으로 표기했다.
Reiterdienst - 기수봉무
Realunion - 실질연합/ 물상연합: 연합의 한 형태로 두 국가의 국경이 가까워 점차 하나의 국가를 띄어가는 형태이다. 폴스카-리에투바가 대표적인 예시이며, 작슨-폴스카가 실패한 예시이다.
Realschule - 실업학교
REFERENDVM, Referendum - 조회투표/ 국민투표: 본래의 뜻인 '조회하다'에 '투표'를 붙였다.
Rheinbund - 라인 연맹/ 라인 동맹, 라인 연방: 근본적으로 'Bund'가 갖는 Confederacy로서의 의미를 부각하여 받아들였다. Reich와 비슷한 경우이다.
Ritterorden, Knightly Order, Chivalric Order - 기사단: '종교기사단'이라는 표기와 구분하기 위해 '세속기사단'이라는 단어를 쓰기도 하나, 실제 Secular order(세속회)는 제3회, 즉 카톨릭교에서 평신도 수도회를 이르는 말이기에 별로 추천하진 않는다. '종교기사단' 또한 실제 해당 수도회에서 사용했던 '군사수도회', 혹은 '기사수도회'로 쓰는 것을 권장한다.
Ritterschwert - 기사검/ 아밍 소드(Arming sword): 중세 유럽에서 쓰인 검의 종류로, '전투검(Kampfschwert)', '광검(Breitschwert, 廣劍)'이라고도 한다. '아밍 소드'를 반영하여 '무검(武劍)'으로 쓴다.
Rolling block - 노리쇠 회전식
?Romance languages - 로마계어족/ 로망스어족
Romanesque - 로마적 양식/ 로마네스크: '로마'와 '-적', '-식'이란 의미의 프항스어 '에스크'가 합쳐진 결과. 한문에서는 이것을 '로마식'으로 썼으나, 고유성이 살지 않는다는 느낌에 '로마적'으로 대체했다. 이것은 로마'적' '양식'이란, 유의어를 동시에 사용한 이유이기도 하다.
rubber - 진고(津膏)/ 고무:
ruff - 주름깃:'주름진 옷깃'이라는 점을 명사화했다.
Russians - 루스인/ 러시아인: 인족으로서의 러시여인, 즉 '루스키'를 가리킨다. 러시여는 스르비야와 더불어 인족 및 민족적 지칭에 차이를 두는 국가로, '러시여니'와 '루스키'가 이의 예시이다. 그러나 잉글런드어로 Rus', Rus'ians라 불리는 인족에 대해서도 '루스인'을 사용할 것이기에 그와 함께 둘 땐 '대루스인'으로 써서 구분한다.


S

Sabre - 참곡검(斬曲劍)/ 기병도: '베는 휜 칼': 어원이 된 '사블라'의 뜻이 '베다'를 뜻한다는 가설을 택하고 특히 휜 외양에 영감을 받아 그와 같이 지었다.
SALII FRANCI - 살 프랑크인/ 살리 프랑크인
Sapper - 호병(濠兵): 본래 의미가 참호와 굴을 파는 병사라는 의미이다. '건호병'도 생각해봤으나 어감 때문에 제외했다. 어딘가선 '굴착공병'도 제안됐으나 Miner가 굴착병으로 쓰이는 중이라 제외했다.
Sarmatian - 사르마트/ 사르마티아인: 에우라시아의 에란인 집합체이다. 실제로는 단일 인족이라기보단 연맹에 가까웠기에, '사르마티아'라는 불분명한 특정 지역의 사람들이라고 하기보단 단순히 단어를 그대로 놔두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했다.
Sarmatyzm - 사르마트주의
satin - 공단()
Saxon - 삭손(Sahson): 오늘날의 작슨 및 하류 작슨에 거주했던 게르만인의 분파이다. 도이트어로는 '작슨', 잉글런드어로는 '색슨'이라 하나, 라티움어 및 원어로는 모두 '삭손'이라 한다. 단, 라티움어에서는 SAXONII로, 원어에서는 Sahson으로 쓴다.
scandal - 추문/ 스캔들
Scot - 스코트어
Scottish English - 스코틀런드 잉글런드어/ 스코틀랜드 영어
Scottish Gaelic - 알가퍼 고이델어(Gàidhlig na h-Alba) 스코틀랜드 게일어
Scythians - 스퀴트/ 스키타이인
Section - 반: 분대 이하의 편제 단위로 보통 2인으로 구성된다.
series - 일련
set - 일습, 벌
Sharpshooter, Schützen - 특등사수
Shellac - 진고옻: 프항스어의 '곰 라크(Gomme-laque)'에서 유래했으며, '고무'의 번역어인 '진고'를 접목시켰다.
Shortsword - 중검/ 쇼트소드: 날의 길이가 짧은 검의 한 유형이다. 자료집들에선 단검을 가리키는 대응 번역어로서 '대거(Dagger)', '나이프(Knife)'를 쓰고 있다.
Sir - 경: 훈작사에게 수여되는 경칭인 동시에 상대를 높이는 일반적 형태의 존칭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쓰이는 존칭으로서는 '경'으로 번역하지 않는다. 에스파냐어의 '돈(Don)'과 푸르투갈어의 '동(Dom)' 등이 이와 같이 번역된다.
Slavs - 슬로브인/ 슬라브인: '슬라브'의 슬로브 조어 명칭인 '슬로베네()'에서 접미사인 '-에네(-)'를 빼고 부르는 것이다.
Slide action - 활척식
smalt - 화감청()
Snaphance - 탁식(啄식)
Snaplock -연식(撚식)
Snap matchlock- 완발식()
?Seneschall, Seneschal, Seneschal - 지배장
Staatssozialismus - 국가사회주의: 페어디난트 라살이 제창한 이론. 정치체로서의 국가를 의미하는 '쉬타트(Staat)'가 분명하게 삽입됐기에 이를 '국가'로 번역함으로써 '민족의'로 쓰일 수 있는 '나치오날(National)'과 구분했다.
Statue - 규정
Statute, LEX, Gesetz - 법률
STEPHANVS - 스테파누스: '왕관'을 뜻하는 엘린어에서 파생된 칭호이다. 통치자에게 이름으로 붙는 경칭인 관계로 그대로 음차했다. '스톄판(Stjepan)', '스테판(Stefan)'이라고도 한다.
Steward, Statthalter - 내사관(內事官)/ 재상, 총독: 때때로 '궁내관'으로도 쓰이나 해당 관직의 관할권이 궁 안에 한정된 게 아닌 데 더하여 '내'라는 글자가 지닌 의미를 더 넓게 해석하여 받아들였다.
Stocking/ Hose - 다리싸개: 도이트어에서 '다리덮개', '다리옷' 정도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고안한 것으로, 달라붙는다는 점으로 인해 "싸개"가 더 적합다고 판단하고 채택했다. 덧붙여서, 여기서 '스타킹'은 현대의 나일론으로 된 닐론트람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호스와 동의어를 의미한다.
Strip - 조형지(絛形地)/ 구역: 길게 늘어진 형태의 지역을 일컫는다. 다른 언어에서는 '반데(Bande)'라고도 하는 등 '끈'을 연상시키기에 '끈'을 뜻하는 글자를 썼다.
Splinted Armour - 조판갑()
Sumer - 웅상기가(ùĝ saĝ gíg ga)
Sussex - 남삭손 왕국(Sūþseaxna rīce)/ 서섹스


T

Tafel, Bank(특히 중 고지대 도이트어에서), Tisch - 급대: 급료를 지급하기 위한 탁상을 의미한다. '방크(Bank)'는 '좌석'을 뜻하기도 하나 맥락에 따라선 이와 같이 쓴다.
Tang - 탕/ 당: 현대 한어 음역이다.
Television - 전시기(電視기)
Territorialstaat - 영토국가, 영방국가 - 군주를 중심으로 한 사유국가(Personalstaat)를 벗어나 군주나 왕조에 상관 없이 영토와 그 안에서의 제도로 결집된 국가형태이다. 흔히 설명문과 신성로마제국을 주제로 한 창작물은 물론 본인의 블로그에서도 제목에 한정해서나마 신성로마제국의 소속 정치체에 관해 '영방국'이라는 표현을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나 실제 의미는 그와 다르다. (다만, 제국 내 정치체들이 '영토국가화되었다'는 표현은 옳은 것이다.) 신성로마제국의 봉신국은 단순히 '영토(Territorium)' 내지는 '소속 정치체' 정도로만 표현될 예정이다. 한편, 게임 등의 영향으로 외국과 국내에서 '회원국'이란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제국은 연맹이나 연방이 아니라 봉건 제국이었다. 황제에 대한 충성서약 없이는 들어올 수 없었으며, 싸우지 않는 이상 나갈 수 없었다.
Tibet - 푀()/ 티베트, 티벳: '티베트'를 푀어로 한 말이다. 라티움 음차로 인해 '뵈'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발음 기호와 한어 음차는 '푀'라고 표시한다.
Timurid Empire - 구르컨국(): 퍼르스 문화권에 속한 튀르크-몽골 국가로, 티무르가 금윤의 여인과 혼인하며 수여받았다는 '사위'를 가리키는 몽골어의 퍼르스식 발음인 '구르컨'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바라타 구르컨의 경우, 몽골계였기에 우르두어로 '몽골'을 뜻하는 '무갈'이 영어권으로 넘어가 '무걸'이 되었으나 본질은 인도에 존재했던 티무르의 자손들이었으니, 스스로가 '구르커니연'이란 명칭을 사용한 사실을 배제해도 마땅히 이를 나타내는 게 옳다고 생각했다.
tip - 제언, 조언 <=> advice
Topcoat - 경외투(輕외투)/ 탑코트:무릎 위까지만 오는 좀 더 짧은 외투다. 다른 외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다는 의미를 강조했다.
town, Kleinstadt - 읍
TRANS- - 월-(越-): '너머', '넘어서'를 의미하는 라티움어 접두사 '트란스-'을 가리키는 지명의 번역어이다. 월우르단(트랜스조던), 월알프(Transalpina, 트란살피나), 월실바니아(TRANSSILVANIA, 트란스실바니아, 현 트란실바니아)가 이에 해당한다.
Treaty - 조약
Tunic - 피의(겉 피, 옷 의)/ 튜닉


V

Valentin - 발렌틴: 왈렌티누스/발렌티누스의 도이트어식 이름이다. 때때로 '팔렌틴'으로도 발음되나 어원이 라틴어인 이름이기에 잘못된 발음이다. 잉글런드어로는 발런타인(Valentine)이라 한다.
Varangians - 바랑인(VARANGII)/ 바랑기안
velvet - 우단()
verditer - 화녹청
Treaty of Verdun - 비로두눔 조약(TRACTATVS VIRODVNVM)/ 베흐됭 조약
Vikings - 비킹(Víkingar)/ 바이킹: 중세 초 북해 지역 및 지중해를 중심으로 활동한 북방인들의 집단이다. '바이킹족'이나 '바이킹인'으로도 쓰이나 잘못된 표현이라 여기고 쓰지 않았다. 카자키와 비교할 수 있다.
village, Dorf - 마을
Volksabstimmung - 국민투표: '국민의(Volks)' + '투표(Stimmung)'
Volksbefragung - 국민조회: '국민의(Volks)' + '물음/조회(Fragung)'

W
Wachtmeister - 초관(哨官): 합동군에선 기병 상사로 쓰였지만 그 이전까지는 경계 근무를 서던 직위를 뜻했다.
Wargame, Kriegsspiel - 모의전
?Wehrmacht - 방위군: 1935년부터 1945년까지 유지된 도이췰란트의 정규 군사조직. 자료집들에서 말하는 국방군은 Reichswehr를 말하는 것이다. '라이히스베어'는 '라이히(Reich)'와 '막다(Wehren)'가 합쳐진 것으로, '라이히'에 대해 '군령'이란 번역어를 만들긴 했으나 문맥에 따라 달리 사용하고 있다.
Wei - 웨이(魏)/ 위
Wends, Wenden, Winden - 베네드인(VENEDI), (언어와 맥락에 따라) 빈트인, 벤트인/ 웬드인, 벤드인
Weimar - 바이마어/ 바이마르
Welsh language - 컴리어(Cymraeg)/ 웨일스어
Wheellock - 치륜식
wording - 단어 선택: '어휘', '표현' 등으로도 쓴다.


Y

Yuan - 왼/ 원: 이른바 '원'의 몽골식 발음이다. 그러나 왼이 곧 대몽골국 자체이기 때문에 특정 맥락이나 칭호가 아닌 이상 언급될 가능성은 낮다.

댓글

최다 조회 게시물

종합 안내문

티거 에이스(Tiger ace)

신령군

전리분배장

귀위그 카간이 교황 인노첸시우스 IV세에게 보낸 서한